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django ORM
- Git
- 파이썬 알고리즘
- django widget
- 알고리즘 연습
- 백준
- API
- django rest framework
- web
- 장고
- Algorithm
- DRF
- javascript
- 알고리즘 문제
- PYTHON
- 알고리즘 풀이
- es6
- HTML
- java
- CSS
- AWS
- Baekjoon
- 파이썬
- js
- Django
- react
- c++
- MAC
- form
- 알고리즘
- Today
- Total
수학과의 좌충우돌 프로그래밍
안녕하세요 강민성 입니다. 오늘은 C언어 메모리 동적 할당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가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변수가 배열을 선언 해줌으로서 저장 공간을 확보하게 됩니다. 처음부터 얼마 만큼의 메모리를 사용할지 안다면 문제가 없겠죠. 하지만 프로그램의 실행 도중, 저장 공간을 할당해야 하는 경우도 생길 것 입니다. 그럴 때 오늘 배울 메모리 동적 할당을 사용하게 됩니다. 메모리 동적 할당에 대해 알아보자! 1. malloc , free 함수 먼저 malloc 함수와 free 함수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두 함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stdlib.h 헤더 파일을 include 해야 합니다. 1void *malloc (unsigned int size);cs 다음은 malloc 함수의 원형입니다..
안녕하세요 강민성입니다. 오늘은 유클리드 알고리즘과 그 확장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유클리드 알고리즘이란? 먼저 유클리드 알고리즘이란 유클리드 호제법이라고도 하며 두 수에 대해서 최대공약수를 구하는 방법입니다. 두 수가 일반적인 방법으로 최대 공약수를 구하기 너무 커졌을 때 이 유클리드 알고리즘을 사용하면 보다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이제 유클리드 알고리즘을 살펴보면 두 수 a,b에 대해서(a>b), a = q * b + r 라 하면 q 는 몫, r은 나머지가 됩니다. 이 때, gcd(a,b) = gcd(b,r) 이 성립하고 이와 같은 과정을 계속 거쳐 나머지가 0이 되었을 때 나누는 수가 a,b의 최대공약수에 만족하게 됩니다. 예시를 통해서 알아볼까요? 240꽈 46의 최대공약수를 구한다고 ..
안녕하세요 강민성입니다. 오늘은 파이썬 변수의 유효 범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scoping rule 이란 변수의 접근이 가능한 범위를 뜻합니다. 이 scope를 결정하는 방식에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static scoping 과 dynamic scoping 입니다. 그 중에서 dynamic scoping 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dynamiic scoping를 사용하는 대표적인 예가 바로 python 이죠. 그래서 python 언어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파이썬에서 변수는 4가지 경우가 존재합니다. LEGB 가 각각에 해당되는데 이에 대해서 먼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Local : 함수 내부의 공간 Enclosing Function Local : 함수를 내포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