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백준
- 알고리즘 연습
- 파이썬 알고리즘
- API
- CSS
- PYTHON
- 알고리즘
- javascript
- DRF
- django widget
- django rest framework
- c++
- Algorithm
- web
- MAC
- django ORM
- 파이썬
- form
- es6
- react
- Git
- java
- js
- Django
- 알고리즘 문제
- Baekjoon
- AWS
- HTML
- 장고
- 알고리즘 풀이
Archives
- Today
- Total
수학과의 좌충우돌 프로그래밍
딥러닝이란 무엇인가? 본문
인공지능과 머신러닝, 딥러닝
인공지능과 머신러닝, 딥러닝은 다음과 같은 포함관계를 가진다.
이에 대해서 알아보자.
인공지능
정의 : 보통의 사람이 수행하는 지능적인 작업을 자동화하기 위한 연구활동
이미지 처럼 머신러닝과 딥러닝을 포괄하는 종합적인 분야
심볼릭 AI(symbolic AI)
- 1950년대부터 1980년 AI의 지배적인 패러다임
- 명시적인 규칙을 충분하게 많이 만들면 인간 수준의 인공지능을 만들 수 있다.
머신러닝
- 배경 : 심볼릭 AI 는 체스게임 처럼 잘 정의된 문제에 대해서는 적합하지만, 이미지, 음성과 같은 불분명한 문제에 대해서는 부적합
- 기존의 방식은 규칙과 데이터를 입력하여 해답을 찾는 방식이라면, 머신러닝은 데이터와 해답을 입력하여 규칙을 찾는 방식
- 프로그래밍이 되는 것이 아닌
훈련
이 되는 것 - 입력데이터를 의미있는 데이터로 변환
- 가능성 있는 공간을 사전에 정의하고 피드백을 받아 더 정확한 데이터로 변환해가는 과정
머신러닝의 역사
확률적 모델링
통계학 이론을 데이터 분석에 응용
나이브 베이즈 알고리즘
- 입력 데이터의 특성이 모두 독립적이라고 가정하고 베이즈 정리를 적용하는 알고리즘
- 컴퓨터가 나오기 전 부터 수작업으로 진행
로지스틱 회귀
- 이름 때문에 헷갈릴수도 있지만 회귀 알고리즘이 아닌 분류 알고리즘
초창기 신경망
- LeNet
- 합성곱 신경망과 역전파를 사용해 손글씨 숫자 이미지 분류
커널 방법
분류 알고리즘의 한 종류
SVM(Support Vector Machine)
커널 방법 중 가장 유명한 알고리즘
2개의 다른 범주를 구분할
결정 경계
를 찾음결정 경계를 찾는 과정
- 결정 경계가 하나의 초평면으로 표현될 수 있는 새로운 고차원 표현으로 데이터를 매핑
- 초평면과 각 클래스의 가장 가까운 데이터 포인트 사이의 거리가 최대가 되는 최선의 결정 경계를 찾음(마진 최대화)
etc
결정트리
- 트리와 같은 형태로 입력 데이터를 분류
랜덤 포레스트
- 결정 트리 학습에 기초
- 서로 다른 결정 트리를 많이 만들고 그 출력을 앙상블하는 방법
- 결정트리를 앙상블 함으로서 다른 결과가 출력 될 것이고 그 결과를 평균, 곱, 과반수 등의 방식으로 최종 결과를 도출한다.
그레이언트 부스팅 머신
- 랜덤 포레스트와 전반적인 과정은 동일
- 이전 모델에서 놓친 데이터 포인트를 보완하는 새로운 모델을 반복적으로 훈련하여 성능 향상
딥러닝
머신러닝의 특정한 한 분야로서 연속된 층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
딥러닝에서의
딥
이란?- 위에서 말한 층이 연속적으로 여러 개, 깊게 사용되었다는 것을 의미
데이터가 연속된 필터를 통과하면서 정제되어 원하는 데이터를 얻게 되는 과정
- 연속된 층을 거치면서 점진적으로 더 복잡한 표현이 만들어짐
- 이런 점진적인 중간 표현이 공동으로 학습됨
딥러닝의 작동 원리
가중치 : 각 층에는 입력데이터를 어떻게 처리할지에 대해서
가중치
로 저장손실함수 : 예측과 기대값의 차이를 점수로 계산
딥러닝은 손실함수 값을 최소화하기 위해(예측과 기대값을 같게 만들어주기 위해) 가중치를 조절해나가는 과정
- 이 과정은
역전파
알고리즘을 구현한옵티마이저
가 담당
- 이 과정은
'인공지능 > 케라스창시자에게 배우는 딥러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딥러닝]05.imdb 영화 리뷰 이진 분류 (1) | 2019.03.25 |
---|---|
[딥러닝]05. 신경망의 구조 (0) | 2019.03.18 |
[딥러닝]04.그레디언트 (0) | 2019.03.15 |
[딥러닝]03.텐서연산 (0) | 2019.03.15 |
[딥러닝]02.신경망을 위한 데이터 표현 (0) | 2019.03.15 |
Comments